1. 참여정부의 국가부채 증가요인
1997년 60조 원 (김영삼)
2002년 133조 원 (김대중) 73조 증가
2003년 165조 원 32 증가
2004년 203조 원 38
2005년 248조 원 45
2006년 282조 원 34
2007년 298조 원 16 (노무현) 165조 증가
165조 증가요인
가. 원문주소 : http://blog.daum.net/jslimlov/8340636
(중략)... 참여정부 5년 동안 (03~07년) 국가채무는 165.3조원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증가한 국가채무의 80%(131.3조원)는 참여정부 이전에 발생한 외환위기 극복을 위해 부담하였거나,
외환시장 안정, 서민주거안정 등 방만한 재정운영과는 무관한 불가피한 지출이었다.
▪ 외국환평형기금채권 69조원(41.7%) : 환율 및 외환시장 안정
▪ 공적자금 국채전환 52.7조원(31.9%) : 공적자금의 국채전환 소요
▪ 국민주택채권 9.6조원(5.8%) : 서민주거생활 안정 이상 합계 : 131.3조
나. 참고사항
참여정부 신규사업 채무증가액 17조 : 새만금, 호남고속철, 근로장려금 지급 등의 국책사업 (근거불확실)
2. 이명박 정부의 국가부채 증가요인
2008년 308조 원 10 증가
2009년 359조 원 51
2010년 392조 원 33
2011년 420조 원 28
2012년 443조 원 23 (이명박) 145조 증가 * 공기업채무 169조 --> 363조 (194조 증가)
2013년 481조 원 38조 증가 (박근혜 1년차)
145조 증가요인 ? 4대강 사업 - 22조 / 그 외 근거자료 못구함.
3. 유의점
13년말 기준 국가채무 481조
일부공기업 채무 포함땐 1200조 (IMF의 국가채무산정 기준)
사립학교 교직원연금 및 국민연금 포함시에는 2100조 (한국경제연구원 주장 광의의 국가채무)
국가채무 - 정부 및 지자체가 직접 갚아야 하는 채무 (약 481조)
국가부채 - 국가채무 + 국가보증부채 (약 2100조)
국가보증부채 - LH공사, 한국전력 등의 각 공기업 부채와 국민연금 민자사업 손실보전액 등.
*****************************************************************
* 참고 : 순 국가채무 증가액
김대중 20.1조
노무현 31.5조
이명박 99.6조
박근혜 1년 만에 35조
위는 트윗상의 주장으로 근거가 불확실하나,
위 1항의 내용에 의거하여, 순 국가채무 증가액만을 놓고 볼 때 노무현 정부의 31.5조라는 수치는
사실에 근접한 수치로 생각됨. (부채증가액 165조 - 공적자금 및 외국환 평형기금 131조 = 34조)
'나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신과 비타민 C (0) | 2014.08.06 |
---|---|
세월호...'살아서 보자' (0) | 2014.07.24 |
'안동역에서' 가사평 (0) | 2014.06.15 |
뉴스타파 (0) | 2014.05.07 |
정미홍씨에게... (0) | 2014.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