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고죄 관련 판례 (허위사실의 신고) 무고죄에 있어서, 허위사실의 신고라 함은, 신고사실이 객관적 사실에 반한다는 것을 확정적이거나 미필적으로 인식하고 신고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므로, 객관적 사실과 일치하지 않는 것이라도 신고자가 진실이라고 확신하고 신고하였을 때에는 무고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할 것이나.. 생활법률 2012.03.18
상해및 무고죄 양형 사례 집주인 때려놓고 되레 맞았다 발뺌한 세입자…결국 징역형 2011-12-09 09:58 지난해 2월 A(39ㆍ여)씨는 경찰에 집주인 B(67ㆍ여)씨를 고소했다. A씨는 집주인 B씨와 일조권 등 방 문제로 시비가 있던 중 B씨가 자신의 방에 찾아와 욕설을 하며 팔을 때렸고 자신이 나가달라고 했음에도 B씨.. 생활법률 2012.01.04
[스크랩] 피의자가 무혐의처분을 받았다는 사유만으로 고소인에 대해 당연히 무고죄가 성립하는지 여부 ?? 피의자가 무혐의처분을 받았다는 사유만으로 고소인에 대해 당연히 무고죄가 성립하는지 여부 [질문] GOLFK(golf********) | 2009-03-05 05:27 | 협박죄로 고소당했다가 무혐의로 나왔습니다. 상대방을 무고죄로 고소할 수 있습니까? [답변] "무혐의로 나왔다"라는 말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 생활법률 2011.12.31
[스크랩] 무고죄에 대한 판례 법리 (종합) 무고죄에 대한 판례 법리(종합) 형법 제156조(무고) 타인으로 하여금 형사처분 또는 징계처분을 받게 할 목적으로 공무소 또는 공무원에 대하여 허위의 사실을 신고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무고죄에서 '허위의 사실'의 의미(대법원 2010.2.2.. 생활법률 2011.12.31
고소 1. 고소장 접수시 필요한 것 고소장을 접수하러 갈 때에는 기본적으로 자신의 신분증과 고소장만 있으면 됩니다. 부득이한 사정으로 고소인이 직접 접수하지 못할 때에는 위임장과 대리인의 신분증이 있으면 됩니다. 고소장은 우편으로도 접수가 가능하고, 인터넷으로 전자접수도 가능하며, 전국의 .. 생활법률 2011.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