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제사 지내는 법

라즈니쉬 2010. 8. 6. 18:24




<좌반우갱>- 산 사람이나 죽은 사람이나, 밥과 국의 위치는 같음.
                   (흔히, 죽은 사람은 산 사람과 모두 반대로 한다는 속설때문에 착오하기 쉬움) 

*****************************************************************

 

제사는 무엇보다 조용하고 깨끗하고 엄숙함을 중요시한다.


강신 ( 降神 )
    ① 제주는 맨 처음 향을 사른 뒤 재배(두번 절하는 것)한다.

    ② 제주는 제상에 올린 잔대를 내려 술잔에 술을 반쯤 부어 모사에 세 번에 나누어 술잔을 비우고
        빈 술잔을 재상에 올린 후 재배한다.


참신 ( 參神 ) : 제주이하 참석자 모두 위전에 재배한다.


초헌 ( 初獻 ) : 첫 잔을 올리는 것을 초헌이라 한다.

    ① 고위(考位)부터 시작하는데(두 분 모두 돌아가신 경우) 고위전의 잔(잔대와 같이)을 내려
        동향(오른쪽)하면 집사(제사 거두는 사람)가 술잔에 술을 가득히 따른다.
        주인은 잔을 들고 일어 서서 고위전에 올리고는 비위전의 술잔도 같은 요령으로 따라 올린다.

    ② 다음 고위전의 잔을 내려 주면(집사가) 주인(제주)이 받아 모사에 조금씩 세 번 나누어 붓는데,
        술잔의 술이 7부 정도 남게 한다.
비위전의 잔도 내려 같은 요령으로 한다. 이것을 제주(祭酒)라 한다.

    ③ 적(炙)이 있으면 적을 올린다(적 그릇 위에). 이것을 진적(進炙)이라 한다.

    ④ 집사는 고위와 비위에 메(밥) 뚜껑을 연다. 이것을 계개(啓盖)라 한다.

    ⑤ 일동 위전께 엄숙히 머리 숙이고 꿇어 앉은 다음 축관이 축을 읽는다. 이것을 독축(讀祝)이라 한다.

    ⑥ 축이 끝나면 모두 일어서고 주인은 재배를 한다.

    ⑦ 위전에 올렸던 술잔을 빈 그릇에 붓는다. 이것을 철주(撤酒)라 한다.

    ⑧ 올렸던 적(炙)도 내린다. 이것을 철적(撤炙)이라 한다.


아헌 ( 亞獻 ) : 두 번 재 술을 올리는 순서다.
    아헌은 주부(主婦)가 행하지만 여의치 않으면 주인의 동생 또는 주인의 장남 등이 행한다.

     ① 잔 올리고

     ② 제주하고

     ③ 적 올리고

     ④ 철주하고, 척적하는 요령은 초헌 때와 같다. 단, 계개하고 독촉하는 순서가 없다.


종헌 ( 綜獻 ) : 삼헌(三獻)이라고도 한다. 서열상 아헌관 다음이 되는 사람이 행하되 잔 올리고,
    제주하고, 적 올리고, 재배하는 순서는 아헌과 같다. 단, 철주와 철적만 하지 않는다.


유식 ( 有食 ) :
     ① 주인은 술병을 들고, 삼헌때 올렸다가 제주해서 3부 가량 덜 채인 술잔에 가득 따라 붓는다.
         이것을 첨작(添酌)이라 한다.

     ② 주부(없으면 집사)는 메 그릇 한 가운데 십(十)자를 그어 수저를 꽂는다(수저 손잡이가 동쪽으로 향하게).
         이것을 삽시(揷匙)라 한다.

     ③ 시접 위에 놓인 젓가락을 뚝, 뚝, 뚝, 세 번 상에 쳐서 접시 위에 올려 놓는다. 
         이것을 정저(正著)라 한다.


합문 ( 閤門 ) : 주인 이하 모든 사람이 제청 밖으로 나가면 축관이 맨 나중에 나와 문을 닫는다.
    남자는 문 동쪽에서 서향하고, 여자는 오른쪽에서 동향하고 선다.
    기다리는 시간은 구시간(九匙間 : 밥 아홉 수저 떠먹는 시간)이라 하였으니 5, 6분 정도가 된다.


계문 ( 啓門 )
     ① 축관이 먼저 문을 열고 들어선다. (제관들은 따라 들어간다.)

     ② 주부는 위전에 놓인 국 그릇을 내간다. 이것을 철갱(撤羹)이라 한다.

     ③ 주부는 숭늉이나 차를 올리는데, 이것을 진숙랭(進熟冷) 또는 차를 올리면 진다(進茶)라 한다.

     ④ 메 그릇에 꽂았던 수저로 메를 떠서 조금씩 수랭에 만다.

     ⑤ 수저를 걷는데, 이것을 철시(撤匙)라 한다.

     ⑥ 메 뚜꺼을 단는다. 이것을 합반개(合飯盖)라 한다.


사신 ( 辭神 ) : 신위께 마지막 작별 인사를 올리는 절로 주인과 함께 모두 재배한다.


철상 ( 撤床 ) : 음복(飮福)하고 상을 치운다. 이것으로 제사가 모두 끝난다.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양순과 안진경  (0) 2010.10.10
막걸리를... 위하여!   (0) 2010.09.07
멜리나 메르꾸리  (0) 2010.03.24
음악 게시 관련 태그  (0) 2010.02.27
러시아 시인 Lermontov에 관하여  (0) 2010.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