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펌>
변비는 의학적으로 설명하면 일주일에 2회 이하의 변을 보거나, 변을 볼 때 심하게 힘을 주어야 하거나,
지나치게 굳어서 딱딱한 대변을 보거나, 대변을 보고도 잔변감이 남아있는 경우 등의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을 말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이러한 변비 환자가 2009년에는 142만 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많은 변비 환자가 모두 같은 증상으로 고생하는 것은 아니다. 변비에도 종류가 있기 때문이다.
변비는 우선 크게 기질성 변비와 기능성 변비로 나뉜다.
기질성 변비는 대장암이나 게실염 등의 염증, 허혈성 대장염 등 대장이 구조적으로 막혀서 생기는 변비를 말한다.
이런 경우에는 근본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해야 한다.
한편, 기능성 변비는 기질성 변비와 달리 특정 질환은 없지만 대장 기능에 문제가 생겨서 발생하는 변비를 말한다.
대부분의 환자들이 기능성 변비에 속한다. 기능성 변비는 또한번 이완성 변비, 경련성 변비, 직장형 변비로 구분된다.
이완성 변비
는 대장의 운동력이 떨어져서 생긴다.
대장운동이 약해지면서 변을 밖으로 밀어내지 못하고 장 속에 담고 있게 되는 것.
변을 보고 싶은 생각이 별로 없고, 변을 보지 않아도 그다지 고통스럽지 않으며, 변을 한 번 볼 때 많은 양이 나온다.
이완성 변비로 진단되면 운동력이 떨어진 대장을 자극하여 장의 운동을 촉진시키는 약물 치료를 주로 하게 된다.
규칙적인 산책 등의 운동과 섬유소가 풍부한 음식을 먹는 식이요법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경련성 변비
는 말 그대로 대장이 경련을 일으켜 생기는 변비다.
스트레스 등으로 장운동 자율신경이 비정상적으로 긴장함으로써 장경련이 일어나 변이 장의 일부분을 통과하지 못해 발생한다.
변을 보고싶어도 배에 가스만 찰 뿐 쉽게 변이 나오지 않는다.
경련성 변비는 스트레스로 생기는 경우가 많으므로 스트레스 관리가 필수적이다.
또한 평소 장에 무리를 주는 술이나 콜라, 인스턴트 음식 등은 삼가야 하며 자극이 적고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의 섭취가 권유된다.
직장형 변비
는 변이 잘 내려오다가 갑자기 직장에 걸려 더 이상 내려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정상적인 경우라면 배변 시 항문괄약근이 이완되어 대변이 나오는데,
직장형 변비의 경우 괄약근의 이완이 잘 되지 않거나 오히려 더 긴장되면서 변이 나오지 않게 된다.
변의를 습관적으로 억제해 감각기능을 상실하는 등, 나쁜 배변습관 때문에 생기는 경우가 많다.
대개 수술을 통해 괄약근의 일부를 절개하거나, 항문을 열 수 있도록 바이오피드백이라는 항문이완요법이 사용된다.
변비가 원인이 되어 생기는 합병증도 주의해야 한다. 가장 대표적인 질환은 치질이다.
변비 때문에 변이 딱딱해지면 배변시 강하게 힘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항문이 쉽게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변을 보다가 항문점막이 찢어지는 치열이 생기기도 한다.
이런 경우 심한 통증 때문에 배변을 참는 경우가 많아지기 때문에 변비를 악화시킬 수 있다.
흔한 일은 아니지만 장폐색이 일어날 수도 있다.
대변이 장관 내에 오랫동안 머물러 있으면 수분이 계속 흡수되어 점점 단단해지고
이어서 장관을 틀어막은 것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는데, 이런 경우 극심한 복통, 구토를 동반하며 쇼크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또한 만성적으로 변비를 앓는 사람들의 경우,
대장암이 발생하여 암조직 등이 장을 막아 변이 잘 안나오는 것인데도
변비가 심해졌거니 하며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가 치료시기를 놓칠 수도 있다.
따라서 변비가 있다면, 병원을 찾아 자신이 어떤 변비인지 알고, 꼭 그에 맞는 치료를 하도록 한다.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의 효능 (0) | 2012.05.08 |
---|---|
[스크랩] 위장이 무너지면 온 몸이 무너진다 (0) | 2012.01.30 |
커플들의 잠자리 자세 (0) | 2011.07.28 |
[스크랩] “행복하면 오래 산다? 오히려 단명한다” 연구결과 (0) | 2011.05.20 |
전정신경염 (어지럼증) (0) | 2011.04.18 |